
한옥의 마루는 단순한 나무 바닥이 아니다. 마루는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고, 안과 밖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열린 무대였다.조상들은 마루 위에서 밥을 먹고, 대화를 나누며, 이웃을 맞이했다. 그 공간은 언제나 열려 있었고, 누구든 따뜻한 바람처럼 드나들 수 있었다.나는 한옥의 마루를 볼 때마다, 조상들의 관계 방식이 얼마나 따뜻하고 배려 깊은지 느낀다. 이번 글에서는 마루가 만들어낸 공동체 문화와 그 안에 담긴 소통의 철학을 살펴본다.1. 마루는 경계가 아닌 연결의 공간이었다조상들은 마루를 집의 중심에 두면서도 벽으로 막지 않았다.안채와 바깥채, 그리고 마당까지 이어지는 구조는, 안과 밖의 경계를 흐리게 했다. 마루 위에서는 집 안의 어른과 바깥의 이웃이 자연스럽게 마주 앉았다.그 공간은 사적인 동시에 공적..